디파이(Defi)에 대한 이해

이미지
오늘은 디파이 (탈중앙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디파이의 정의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디파이의 주요 특징, 주요 디파이 플랫폼, 그리고 디파이와 일반 거래소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efi란 무엇인가? 먼저 디파이란, Decentralized (탈중앙화) Finance라는 의미로 블록체인의 기술을 이용한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일반 우리가 일상에 쓰는 금융은 중앙화 되어, 은행간의 거래가 이루어지지만, 블록체인 금융 서비스 디파이는 블록체인으로만 이루어지는 이체가 실현됩니다.  Defi 어떤 특징을 가지나? 디파이의 특징은 총 3가지입니다. 먼저 디파이는 스마트 컨트랙트만 있으면 금융 서비스가 제공이 되는 탈중앙화 특징을 가집니다. 이때 탈중앙화 란 정부나 공식 기관이 없이 누구나 할 수 있는 기회가 여겨집니다.  두번째로 디파이는 인터넷만 있으면 쉽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 되 있으며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횡령이 쉽지 않습니다. 주요 디파이 플랫폼 어떤 것들이 있나? 현재 존재하는 주요 다파이 플랫폼들은 유니스왑, 팬케이크스왑, 솔랜드, 레이디움 등등이 있습니다. 이 플랫폼들에는 스테이킹, 스왑, 유동성 공급 풀, 그리고 대출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중앙화 은행 서비스들이 다 있다 (대출, 환전, 예치)고 보시면 됩니다.  디파이, 일반 거래소와 차이점은? 디파이 거래소들과 일반 코인 거래소들의 차이는 트레이딩 그리고 규제에 대해 있습니다. 일반 코인 거래소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그리고 바이비트 등등은 우리나라와 전 세계에 규제...

암호화폐 지갑 종류와 사용 방법: 콜드 월렛과 핫월렛의 차이

이미지
오늘은 콜드 월렛과 핫월렛 그리고 가상자산에 대한 지갑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핫월렛은 무엇이며 콜드 월렛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지갑 사용 방법, 그리고 추천 지갑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드월렛과 콜드 월렛 먼저 지갑 종류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암호화폐 지갑들에는 크게 2가지 종류의 지갑들이 있습니다. 핫 월렛이 첫번째고, 두번째는 콜드 월렛입니다.  핫 월렛이란 대표적으로 phantom, metamask, 그리고 solfare 등등이 있으며, 이는 브라우저에 다운로드가 가능한 지갑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지갑은 private key라는 키가 있으며 12개의 개인 단어들이 있습니다. 개인 지갑인 핫 월렛을 사용하려면 잘 보관해 놓아야 됩니다. 그렇지 못 하면 자금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콜드 월렛이란 렛저를 사용한 physical 소유 가능한 월렛입니다. 대표적인 월렛은 Ledger 그리고 Trezor가 있으며, 이 렛저는 들고 다닐 수 있고, 브라우저나 인터넷이 아닌 지갑 물건입니다. 컴퓨터에 연결 하면 USB처럼 자산을 볼 수가 있습니다.  콜드 월렛과 핫 월렛 사용 방법 핫 월렛을 사용 하려면, chrome 브라우저에서 phantom, solfare, metamask, wallet connect를 연결 시켜야 하며, 12개 혹은 24개의 단어나 프라이빗 키를 보관 해 놓고 자산을 이체 시키며 사용 하면 되겠습니다. 콜드 월렛은 실제로 Ledger나 Trezor 공식 홈페이지를 들어가 구매를 하고 핫 월렛과 마찬가지로 12개의 단어나 24개의 단어를 보관 해 놓고 자산을 넣어 사용 하시면 됩니다.  추천 지갑 현재 흔히 사용하는 대표적인 지갑들은 phantom과 metamask이며, 이두 지갑은 evm 체인을 적용 시킨 코인들과 솔라나 네트워크를 사용한 코인들을 지원합니다. 크롬에 들어가셔서 extension 스토어에서 phantom...

POW란? Proof of Work에 대해서 이해해보자

이미지
오늘은 POW (Proof of Work)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roof of Work가 무엇이고, 작동하는 과정, 그리고 사용 사례인 코인들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roof of Work란 무엇인가? POW는 블록체인이라는 산업 안에 있는 합의 알고리즘 중 하나이며, 이체 (트랜젝션)의 검증 단계를 거쳐 작업 증명의 단계를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POW의 방식의 코인은 비트코인이며, 이 외에도 다른 알트코인들이 POW의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POW가 작동은 어떻게 해? 다음은 POW의 작동 과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OW의 작동 과정은 4단계로 이어집니다. 먼저 이체를 처리합니다. 이때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의 지갑으로 이체를 한다면 이 이체는 블록체인 메모리에 저장되어 처리됩니다. 다음 블록 생성을 합니다. 블록 생성은 마이너(채굴자)들이 하고, 아까 처리된 이체를 검증하는 단계를 거칩니다. 검증을 할 때 채굴자들은 이체를 했을 때 나오는 해시 값을 찾습니다. 이때 SHA-256의 해시 함수가 적용되며 블록이 생성 됩니다.  3번째로 작업 증명의 과정에서 채굴자들이 해시 값을 찾아낸 다면, 이때 채굴자들이 해시 값을 네트워크에 전파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값에 대해 다른 노드들이 검증 단계를 거치고 만약 이 이체가 유효한 것이라면 처리합니다.  POW의 사례들 마지막으로 Proof of Work를 사용 했거나 POW를 적용 시키고 있는 코인들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까 말씀 드렸다시피, 가장 흔한 코인은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최초로 가상자산을 개설한 것으로 S...

비트코인 차트 분석 12월 17일

이미지
오늘은 비트코인 차트 분석을 통해 여러분들에게 관점들을 설명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을 분석 해 보며, 향후 방향성을 예상하고 대응책을 마련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시작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장기 관점 먼저 주봉 차트입니다. 모두가 보는 임펄스 파동의 흐름이 나왔습니다. 사실 이 임펄스 파동을 알 수 있는 방법은 후행으로 알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임펄스 파동이 나왔다는 의미는 결국 향후에는 조정이 올 수 있다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조정은 상승 파동인 임펄스 파동의 되돌림을 주는 형태로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은 주봉 차트의 다른 카운팅 분석 입니다. 맨 위 사진과 차이를 설명 해 봐라 한다면, 지난 위 사진은 15k에서부터 현재까지만의 과거 차트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고 지금 사진은 25k (2파의 끝)에서 3파가 시작 되고 3-3파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사진의 분석도 똑같이 큰 조정이든 짧은 조정이든 언제든지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 사진은 지난 글에서도 언급 드렸던 설명인 거래량과 가격의 차이입니다. 거래량이 줄어드는데 가격이 올라간다는 의미는 수요는 점점 줄어드는데 가격이 올라간다는 의미와 같은 것이며, 이는 결국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대응 방법 지금 현재 시점에서 대응 방법은 일부 가상자산 현금화를 하는 방법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현재 아무리 올라간다는 확신이 들더라도, 벨류에이션으로 따지면 지금은 중간 넘어선 고평가 자리까지 왔습니다. 미래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가능성을 따져 보고 스스로가 가능성이...

비트코인, 지금은 엄연히 중.고평가 자리

이미지
  오늘은 비트코인 차트 분석을 통해 여러분들에게 비트코인이 중간 고평가 됬는지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비트코인의 사이클 전체를 로그 차트로 본 다음, 알트코인 시가총액 차트 비중인 Others.D를 보면서 왜 비트코인 차트가 중간 고평가 됬는 지를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먼저 비트코인 차트입니다. 현재 비트코인 전체 로그 차트를 보면, 2012년을 제외한 나머지 3번의 사이클에서 저점이 두번 씩 대각선으로 더블 바텀을 터치 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2015년부터 2016년 더블 바텀을 찍었었고, 이전 상승장의 LH에서부터 두 추세선을 그으면 사이클이 반복 되듯이 똑같은 현상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보시게 되면 일론 머스크때의 폭락이 왔었던 때에도 똑같이 두번 더블 바텀을 찍는 듯 싶었지만, 암호화폐의 악재와 러.우 전쟁 그리고 물가 폭등의 사태로 인해 금리 인상을 했고, 그 유동성 문제가 결국 큰 폭의하락장을 만들었습니다. 따지고 보면, 엄연히 This time is different라는 장세는 맞으나, 현재 시점에서 만약 반대로 사이클이 반복 될 가능성을 따져 봤을 때 대각선 더블 바텀을 찍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히 위 사진처럼 채널링을 제어 보면, 2019~2020년 사이 채널 중간 라인에 저항을 지속적으로 맞다가 실패 했었고, 이는 결국 장기 조정 장세를 만들어줬습니다. 저때가 우연히 연준이 팬데믹 사태로 금리 인하 했을 때였습니다.  지금도 각 나라마다 금리 인하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고, 이는 암호화폐에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이 금리 인하라는 목적은 악재가 있기 때문에 돈을 푸는 것으로 무조건 긍정적이다 라고는 얘기 할 수는 없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사태와 서브 프라임 모기지, 그리고 1997년 외환 위기 등 여러 사태들 때도 금리 인상 및 인하하는 이유는 악재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지금은 다르다 ...

비트코인 차트 분석 12월 14일

이미지
    Thumbnail   Intro 오늘은 비트코인 차트 분석을 해 보면서 여러분들에게 비트코인 관련된 관점과 비트코인의 대응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의 관점을 알려드리고, 저라면 비트코인을 어떻게 대응 할 지에 대해서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기 관점과 단기 관점 먼저 장기 관점입니다. 비트코인의 장기 로그 차트를 보면, 채널링을 만들어주면서 지지와 저항에 맞는 부분들이 생기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가격대는 이전 2019~2020년,2022년~2023년 시절, 그리고 지금 사이클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술적 분석을 통해 우리는 현재는 매우 중요한 저항 라인에 있고 확률적으로 해당 구간에서 저항을 지속적으로 받고 횡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봉 차트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일봉 차트를 보면, 가격은 올라가면서 새로운 고점을 만들지만, 거래량은 감소하는 추이입니다. 거래량이 감소한다고 해서 그리고 주가와 거래량이 반대라고 해서 무조건 내려간다는 보장은 없지만, 현재 시점에서 확률적으로 봤을 때 약세를 나타내는 상황입니다.    즉 가능성을 봤을 때 현재 매수세는 굉장히 감소 했고, 짧은 조정이라도 오거나 현재 진행 중이다 라고 판단이 됩니다.  4시간봉을 자세히 보시면, 일봉에서 보이는 추이보다는 좀 더 선명하게 상승 채널링을 만들어주고, 상단 저항 부근인 102k 부근에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거래량은 계속해서 박스권에서 갇혀 있는 상태입니다.  어떻게 대응 해야 할까? 이 저항은 언젠간 뚫리겠으나, 지금은 약세이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매매 하는 것 보단 비트코인이 횡보하는 상태에서 알트코인 펌핑이 나오니, 중시총이거나 저중시총의 알트코인들을 매매 하는 것이 본인 계좌를 늘리는데 올바르다고 생각 합니다.  알트코인을 보는 방법은 ...